FAQ
Q 로그인이 끊기거나, 로그인 오류가 발생하면 어떻게 하나요?

현재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http://geobigdata.go.kr)과 국가공간정보포털(www.nsdi.go.kr)은 사용자를 통합운영/관리하고 있습니다.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 홈페이지와, 국가공간정보포털 홈페이지의 로그인 세션 유지 시간이 서로 다릅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는 로그인이 유지되어 있지만,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에서는 세션 만료로 로그아웃되어
로그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당 오류가 발생할 시에는
1.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 오른쪽 상단에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2. 국가공간정보포털 오른쪽 상단에 로그아웃 버튼을 클릭합니다.
3. 로그아웃이 완료되면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 홈페이지로 돌아와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4.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다시 로그인하면 로그인이 완료됩니다.

위의 방법으로도 오류가 발생할 시에는
1.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 오른쪽 상단에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2. 국가공간정보포털에 접속한 상태에서 단축키 F12를 눌러 개발자 도구를 실행합니다.
3. 개발자 도구 상단에 Application 메뉴를 클릭합니다.
4. 좌측 Storage 메뉴 안에 Cookies 카테고리를 클릭합니다.
5. (http://www.nsdi.go.kr) URL이 나타난다면 마우스 우클릭하여 Clear 메뉴를 실행시켜 해당 URL을 삭제합니다.
6.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단축키 F5를 눌러 새로고침하면 로그아웃이 완료됩니다.
7.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으로 돌아와 오른쪽 상단 로그인 버튼을 눌러 다시 로그인하면 로그인이 완료됩니다.

Q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는 어떤 것이 있나요?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에서는 공통데이터 21종과 기초데이터 3종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국가공간정보포털(https://www.nsdi.go.kr) 에서 개방한 모든 데이터들을 신청을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국가공간정보포털 데이터 신청은 "데이터분석>전문가분석>국가공간정보포털 데이터 신청"에서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신청 익일 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통데이터 목록
1. 시도경계
2. 시군구경계
3. 행정동경계
4. 행정구역_리(법정동)
5. 행정구역_읍면동(법정동)
6. 연속지적
7. 새주소건물
8. 새주소도로구간
9. 국가지점번호_1KM
10. 국가지점번호_100M
11. 노드정보
12. 링크정보
13. 건물통합정보_마스터
14. 건물층정보
15. 건물총괄정보
16. 건물부속지번
17. 건물변동사항
18. 건물물건정보
19. 건물동정보
20. 집합건물대지권지분비율
21. 집합건물전유부

기초 데이터 목록
1. 공시지가_지가정보
2. 집계구별 통계자료(인구)
3. 집계구별 통계자료(사업체)

Q 분석사례에서 표준분석모델과 수요분석과제는 어떻게 다른가요?

수요분석과제는 수요기관의 요청으로 만들어진 분석모델을 수행한 결과에 대한 시각화 사례를 보여드립니다.
수요분석과제는 수요기관의 특수성 및 기타 요구사항이 반영되어 만들어진 분석모델이기 때문에
유관기관에서 바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분석모델의 사례 및 설명을 참고해서
사용자가 분석모델 설계 시 참고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사례입니다.
표준분석모델은 설계된 분석모델을 지속적(일정주기로)으로 분석을 수행하여 결과를 제공해야할 필요성이 있거나,
동일 모델을 유사기관에서 재사용 할 수 있는 분석모델로 설계한 모델입니다.
따라서 사례와 설명을 검토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분석모델과 일치하거나 유사한 경우
사용자는 전문가분석>분석모델 목록에서 원하는 표준분석모델을 선택한 후 복제/수정하여
사용자만의 분석모델을 설계하고 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Q 분석모델 수요신청 시 처리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분석모델 수요 신청을 하시면 담당자가 신청하신 내용을 파악한 후 연락(유선 또는 메일)을 드려서
상세 내역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향후 일정을 알려드립니다.
파악된 상세내역 및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사업단 컨설팅 전문가들이 신청된 분석모델의 활용성, 지속성, 확산성, 구현성을 검토하여
분석모델을 개발 여부를 결정하고 신청자에게 연락을 드립니다.

Q 사용자 감성분석 서비스는 무엇이며, 감성 분류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사용자 감성분석 서비스는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문장, 글 등을 분석하여,
해당 내용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를 분석한 결과를 서비스합니다.
긍부정 분류 기준은 감성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단어를 기준으로 분류됩니다.

Q 키워드 분석은 무엇인가요?

사용자가 요청한 키워드에 대해 특정기간 동안 자료를 분석하여
키워드와 연관되어 언급된 용어, 단어들을 연관토픽맵으로 제공하고,
키워드와의 연관성이 높은 뉴스목록을 제공하며,
키워드 언급량에 대한 트렌드 정보를 제공합니다.

Q 소셜분석은 어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있나요?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의 소셜분석은 국내 언론사에서 제공하는
뉴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생산되는 정치, 경제, 사회 등에 관련된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제한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합니다.

Q 시각화 공유는 무엇이며, 어떻게 하나요?

시각화 공유는 사용자가 분석한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도, 차트, 표 등으로 구성한 대시보드를 저장한 후 공유 버튼을 눌러 공유합니다.
시각화 공유 시 공유 URL이 생성되며, 생성된 URL을 통해
다른 사람이 대시보드의 데이터를 지도와 차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가 시각화를 공유한 경우 해당 시각화는 "분석사례 >사용자 시각화 사례" 목록에 추가되어
다른 사람이 해당 시각화 대시보드를 조회 및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각화 작성자는 공유한 시각화 대시보드를 더이상 공유하고 싶지 않을 경우
"데이터분석>시각화"에서 공유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Q "시각화" 무슨 기능인가요?

시각화는 전문가분석 또는 일반인 분석을 통해 나온 분석결과 데이터를 지도, 차트, 표 등을 통해
효과적으로 데이터간의 관계나 현상 파악을 할 수 있게 대시보드를 구성하는 기능 입니다.
작성된 대시보드는 다른 사람들에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Q shp 파일은 무엇인가요?

SHP 파일(shapefile)은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가지고 있는 GIS 자료 파일입니다.
대부분의 GIS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파일 포맷으로 .shp, .dbf, .shx, .prj 등
여러 개의 파일이 1 세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shp 파일은 해당 파일들의 묶음을 말합니다.
특히 shp, dbf, shx, prj 파일은 반드시 존재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CSV 파일은 무엇인가요?

CSV(Comma-Separated Values)는 몇 가지 필드를 쉼표(,)로 구분한 텍스트 데이터 및 텍스트 파일입니다.
CSV 파일은 텍스트 파일이므로 다양한 문서 편집기(메모장, 워드패드, 엑셀 등)에서 편집할 수 있습니다.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에서는 공간정보를 포함한 CSV 파일에 대해 처리가 가능하므로 샘플 CSV파일을 다운받아 형식에 맞춰 작성한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요청 및 문의"와 "Q&A" 게시판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요청 및 문의"는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 사용 중 발생하는
오류 또는 시스템 개선요청, 건의 및 활용 시 필요한 자료제공 등에 대한
문의 요청에 대해 답변해 드리는 게시판이며,
"Q&A"는 사용자가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 사용 중 발생한
궁금한 내용(기능 사용방법 및 기타)에 대해 문의하면 답변해 드리는 게시판입니다.